이러한 차량에는 그냥 ‘디젤차량용 엔진오일’이 아닌 ‘DPF용 디젤 엔진오일’을 주입해야 합니다.
따라서 DPF 장착 차량은 반드시 ACEA C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전용 엔진오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 DPF 장착 기준은 ACEA(유럽 자동차 제조사 협회)에서 정한 엔진오일 분류기준 중 C 카테고리의 엔진오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C 카테고리는 C1부터 C4까지 4개의 등급이 있으며 각각의 등급은 연비개선 또는 황산회분, 인, 황의 성분비에 따라서 등급이 분류됩니다.
각 자동차 모델별로 DPF의 종류나 특성, 매연 발생량, DPF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등급이 있으므로
DPF장착된 디젤 차량은 순정 엔진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증상:
자동차 종합검사소에서 배출가스 일산화탄소(CO) 기준값 초과 과다 발생으로 검사 불합격 받을 때 해결 방법
위와 같은 경우 진단기로 테스트하면 대체로 ((고장코드: P2096 후방 촉매 연료 시스템- 혼합비 희박))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는 촉매 기능 저하도 있지만 차량 엔진 형식에 따라서 흡기밸브에 카본이 많이 퇴적되어
흡입 효율이 저하되어 일산화탄소 과다 발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공임나라를 방문하셔서 흡기 메니폴트 탈착후 흡기 밸브 클리닝과 스로틀바디(ETC) 클리닝을 해주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소센서를 교체해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전체 투표자 목록
구분 | 캐쉬포인트 | 일 쓰기 제한 | 일 획득제한 |
---|---|---|---|
정비후기게시판 | 50 | 2 | 2회 |
일반 게시판 | 5 | 30 | 5회 |
게시판 댓글 | 10 | 10 | 5회 |
추천하기(상대게시물) | 2 | 2 | 10회 |
추천받기(본인게시물) | 3 | 3 | 10회 |
*닉네임변경 | -1000 (포인트몰구매) |
||
*정비상담 | 0 | ||
특별 이벤트 포인트 | 해당포인트 | 해당포인트 |
포인트몰에서 구매한 정비쿠폰은 마이페이지 쿠폰함에서
확인가능하며
전국 가맹점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