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커뮤니티
디젤차량의 매연 저감 장치(DPF)와 배출 가스 방지 방법!
관세음보살
조회수
124
댓글수
5
25-02-07
디젤차량의 매연 저감 장치(DPF)와 배출 가스 방지 방법!
작성자
관세음보살
조회수
124
작성일
25-02-07

디젤차량은 ‘디젤매연 절감장치(DPF)가 부착된 차량이 많습니다.

요즘 출고되는 디젤엔진 차량은 DPF 방식의 차량입니다.

 

 이러한 차량에는 그냥 ‘디젤차량용 엔진오일’이 아닌 ‘DPF용 디젤 엔진오일’을 주입해야 합니다.

따라서 DPF 장착 차량은 반드시 ACEA C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전용 엔진오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 DPF 장착 기준은 ACEA(유럽 자동차 제조사 협회)에서 정한 엔진오일 분류기준 중 C 카테고리의 엔진오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C 카테고리는 C1부터 C4까지 4개의 등급이 있으며 각각의 등급은 연비개선 또는 황산회분, 인, 황의 성분비에 따라서 등급이 분류됩니다.

각 자동차 모델별로 DPF의 종류나 특성, 매연 발생량, DPF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등급이 있으므로 

DPF장착된 디젤 차량은 순정 엔진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차량은 해당 차량에 적합한 엔진오일의 종류가 있기 때문입니다.

 

보유 차량에 적합한 엔진오일의 종류는 차량 구매 당시 차량 회사에서 제공하는 ‘차량관리 매뉴얼’을 보면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엔진오일은 아무거나 넣으면 안 됩니다.

 

 

노후차량의 경우 아래와 같은 케이스로 배출 가스 불합격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에 따른 해결 사례를 공유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증상: 

자동차 종합검사소에서 배출가스 일산화탄소(CO) 기준값 초과 과다 발생으로 검사 불합격 받을 때 해결 방법

위와 같은 경우 진단기로 테스트하면 대체로 ((고장코드: P2096 후방 촉매 연료 시스템- 혼합비 희박))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는 촉매 기능 저하도 있지만 차량 엔진 형식에 따라서 흡기밸브에 카본이 많이 퇴적되어 

흡입 효율이 저하되어 일산화탄소 과다 발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공임나라를 방문하셔서 흡기 메니폴트 탈착후 흡기 밸브 클리닝과 스로틀바디(ETC) 클리닝을 해주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소센서를 교체해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의 내용 작성 시
관리자 권한으로 즉시 제재 처리됩니다.